김종인式 정치가 '야권승리' 될 수 없는 이유
스크롤 이동 상태바
김종인式 정치가 '야권승리' 될 수 없는 이유
  • 오지혜 기자
  • 승인 2016.04.29 13:2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자수첩> 김종인과 민주화세력, 하나는 버려야 한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오지혜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간판 교체' 시기를 두고 몸살을 앓고 있다.

더민주 당헌·당규에는 총선 직후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선출하도록 돼 있지만, 일각에서 김종인 체제를 연말까지 유지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민주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야권분열로 인한 비상 상황이 해제된 지금, 김종인과 민주화세력 두 간판 중 하나는 내려놔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

▲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뒤로 보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 사진 ⓒ 뉴시스

올초 김종인 대표 영입은 의외의 선택으로 이목이 쏠리긴 했지만, 정체성 논란은 생각만큼 거세지 않았다.

야권의 대척점인 전두환 정권의 '국보위' 이력에 '동화은행 뇌물사건'에 연루된 바 있는 보수 인사지만, 당내 민주화세력 대부분이 침묵을 지키거나, 오히려 환영했다.

당시 전통적인 야권 지지층은 '양초의 난'에 질릴대로 질린 상태였다. 주류든 비주류든 내부인으로는 출구 없는 쳇바퀴가 도는 셈이었다. 이때 '김종인 카드'는 정국 전환을 위해 시도해볼 만한 선택지였다.

비록 과거 흠결이 있었지만 김종인 대표가 주창한 '경제민주화'가 시대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점이 당내 반발기류를 잠재웠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김종인 대표가 적어도 민주화세력의 기본 가치에서 벗어나지 않으리라는 막연한 믿음이 있었다는 점이다. '보증수표'는 그를 영입한 문재인 전 대표였다.

물론, 불협화음이 들렸다.

연이은 북핵 도발에 김종인 대표가 '북한궤멸론'을 언급하면서다. 종래 당의 대북관과 결이 다른 발언에 파장이 일었지만, 김 대표는 "DJ·노무현 정권의 햇볕정책도 시대정신에 맞춰 수정·보완해야 한다"며 밀어붙였다.

이에 내부 갈등이 가시화됐지만, 총선을 앞두고 중도층을 잡기 위한 외연확장으로 풀이되면서 주류세력은 관망세로 돌아섰다. 문 전 대표 역시 직접 맞부딪치기보다 "김종인 대표 덕분에 당이 안정됐다"고 치켜세우면서 논란을 잠재웠다.

그러나 김종인 대표에 대한 전통 지지층의 믿음은 곧 무너졌다.

비례대표 공천과 합의추대 논란을 거치면서, 민주 절차에 대한 인식 부족과 친노·운동권에 대한 프레임적 사고 등 당내 민주화세력과 화합할 수 없는 상대라는 확신을 심어준 것이다.

김종인 체제를 유지하자는 일부 의원들은 이번 총선 결과를 내세운다. 김종인 대표가 보수색채를 입힌 노선으로 산토끼를 몰아와 '원내1당'이라는 쾌거를 이뤘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구에서 제1야당의 선전은 김종인 대표 개인의 리더십이 아닌, 박근혜 정부에 대한 심판 심리의 반사이익으로 해석돼야 한다. 더민주가 정당득표율에서는 새누리당과 국민의당에 밀린 점도 이를 방증한다.

또 김종인 대표가 밀어붙인 당 정체성 개조로 집토끼가 분산된 점도 주목해야 한다. 야권의 심장부 호남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의석이 국민의당으로 옮겨갔다. 민주화세력의 정당이라면 결코 승리했다고 단언하기 어려운 이유다.

앞서 김종인 대표는 '셀프공천'이라는 비아냥 속에서도 "내가 떠나면 당이 돌아가겠냐"며 비례대표직을 따냈다. 지난 2012년 경제민주화를 이루지 못한 한(恨)이라면 의원직을 통해서도 충분하다. 김종인 체제의 부작용이 확인된 만큼 당 대표직을 유지하겠다는 것은 '노욕(老慾)'으로 비치기에 충분하다.

그럼에도 김종인 대표 스스로 물러나기는 힘들어 보인다. 더민주는 이제 선택해야 한다. 더민주가 지향하는 가치는 김종인인가, 민주화세력인가. 어느 간판으로 정권교체 해야 진짜 '야권의 승리'인가.

담당업무 : 국회 및 야당 출입합니다.
좌우명 : 本立道生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ㄹㅈㄷㄼㅈ 2016-04-30 22:44:17
친노 세력은 부산/경남 지역 토호에 불과. 결국 영남 마이너에 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