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파열, 줄기세포 이용 연골재생 치료가 유리"
스크롤 이동 상태바
"반월상연골파열, 줄기세포 이용 연골재생 치료가 유리"
  • 설동훈 기자
  • 승인 2017.09.01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설동훈 기자) 

관절내시경 부분 연골절제수술(partial meniscectomy)이 퇴행성 ‘반월상 연골파열’인 경우에는 치료효과가 없다는 사실이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미국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과 애널스 오브 인터널 메디신(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2013년 5월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는 무작위로 선발된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동반한 반월상연골판 파열 환자 351명을 대상으로 ‘관절내시경 반월상연골판 연골절제수술’군과 ‘물리치료’군으로 나눠 치료경과를 관찰한 것이다.

연구결과 치료 6개월 후 및 1년 후 두 그룹간 치료결과에 큰 차이가 없었고 이 논문은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동반한 반월상연골파열 환자들은 관절내시경 수술이 필요 없다고 결론지었다.

또 2013년 12월에도 같은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에서도 35~65의 퇴행성관절염이 없는 반월상연골판 연골파열 환자 146명을 ‘관절내시경 부분연골절제수술(partial mensicectomy)’군과 ‘연골절제수술이 없는 관절내시경’군으로 나눠 관찰한 결과 치료 1년 후 두 그룹간 치료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이 없는 반월상연골판 연골파열 질환의 경우 관절내시경 연골절제수술이 효과가 없다는 결론이었다

이외에 지난 2016년에는 애널스 오브 인터널 메디신 학술지에 무릎이 굳어져 굽혔다 펴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락킹(locking) 증상이 있는 반월상연골판 연골파열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환자들을 무작위로 ‘관절내시경 부분연골절제수술’군 과 ‘연골절제 수술이 없는 관절내시경’군으로 나눠 관찰한 결과 치료 1년 후 두 그룹간 치료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에 락킹 증상이 있어도 반월상연골판 연골파열 질환은 관절내시경 연골절제술이 필요없다는 결론이었다.

반월상연골파열 질환은 무릎 관절을 무리하게 구부리거나 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할 때 연골에 균열이 생겨 발생한다. 또 강한 충격에 의해 손상돼도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 말랑말랑한 반월상연골판이 뻣뻣해지면서 약간의 충격에도 반월상연골판에 큰 손상이 올 수도 있다.

퇴행성관절염이 시작되는 중년층에선 큰 외상 없이도 반월상연골판 파열 같은 연골손상이 올 수도 있다. 이럴 경우 무릎에 통증과 부기가 생기고 락킹 현상도 오게 된다.

지금까지 정형외과 의학계에선 원인을 불문하고 관절내시경으로 파열된 연골을 제거하는 수술을 관행처럼 시행해왔다. 초기에는 연골파열 부분 전체를 잘라냈지만 이럴 경우 퇴행성관절염이 조기에 발생한다고 알려지면서 최근엔 연골파열 부위 중 일부만을 잘라내는 부분절제수술을 많이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부분연골절제수술도 퇴행성 관절염이 일찍 찾아온다는 부작용에서 자유롭지 않다. 연골판을 잘라내면 무릎관절의 정렬(얼라인먼트)이 틀어지며 슬개골 연골연화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퇴행성관절염이 진행 중인 중·장년층이라면 반월상연골판 절제 후 퇴행성관절염이 더욱 악화돼 무릎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도 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연골판은 무릎관절의 중요한 부분이므로 가능하다면 절제하지 않고 재생치료하는 게 좋다.

USC미프로의원 줄기세포클리닉 박재우 원장은 “근래에 들어 중간엽 줄기세포를 사용해 연골재생 치료하는 게 가능해졌다”며 “국내에서는 자가 골수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지방줄기세포를 사용해 퇴행성관절염 연골재생 치료에 나서고 있고 이를 퇴행성관절염 외에 반월상연골파열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골판이 조금 파열돼 증상이 미미할 경우 간단한 물리치료와 인대강화치료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으로 절제하기 전 자가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해 연골재생치료를 시도하는 게 바람직하다.

자가 지방줄기세포 연골재생치료를 국내에 처음 도입해 시행해 온 박재우 원장은 자체 개발한 자가 지방줄기세포 연골재생 치료제로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 치료를 시도하며 국내 특허를 획득하고 지난 2011년에 영국 바이오메드센트럴(BMC)로부터 ‘최고 증례임상 논문상’을 수상한 줄기세포 전문가다

.지난 2014년 세계적인 학술지 바이오메드 리서치 인터내셔널(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금년에는 저널 오브 스포츠 메디신(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자가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반월상연골파열 연골재생치료의 성공사례를 발표한 바 있다.

박 원장은 “환자의 복부, 옆구리, 엉덩이 등에서 지방을 뽑아낸 뒤 줄기세포를 추출해 무릎관절 또는 고관절에 주사하면 지방줄기세포가 연골조직에서 연골모세포로 분화돼 손상된 연골조직을 재생하게 된다”며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환자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도 거의 없는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