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 자리도 없어요!”
스크롤 이동 상태바
“알바 자리도 없어요!”
  • 김상현 기자
  • 승인 2009.06.30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학력자까지 몰려 알바경쟁 치열
여름방학을 맞아 대학생들의 아르바이트 자리 구하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경기침체로 인해 일자리를 찾는 아르바이트 지원자는 많은데 반해 받아 줄 업체가 적어 아르바이트 자리를 잡기도 쉽지 않다.

알바는 행정사무보조가 최고
 
아르바이트 구인 구직 포털 알바천국(www.alba.co.kr)에 따르면 여름방학 아르바이트를 구하기 위해 5월 신규 등록한 이력서 제출 건수는 1만 9042건으로 작년 동월 1만 4547건보다 30.90% 증가했다.
 

 
반면, 채용공고 건수는 작년 5월 13만 9142건에서 올해 13만 5175건으로 2.85% 감소했다.
게다가 올 여름에는 극심한 청년 실업난을 견디지 못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자들이 아르바이트 시장에 몰리고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1월부터 지난달 5월까지 아르바이트 구직이력서의 최종학력을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 졸업자가 29%로 가장 많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93%)보다 3배 정도 늘어난 것이다.
 
특히 5월 한 달간 대졸이상 아르바이트 신규 등록자 추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대학 졸업자는 3334명에서 5747명으로 72%, 대학원 이상은 70명에서 99명으로 41%나 급증해 취업을 하지 못한 졸업생들까지 아르바이트 시장에 몰려들고 있다.
 
대학가에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아르바이트 업종은 ‘행정기관사무보조’였다. 행정기관의 실무경험을 쌓을 수 있고 직장문화도 체험할 수 있는 공공기관 아르바이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4일 서울시에 따르면 1400명을 모집하는 여름방학 대학생 아르바이트에 1만 1148명이 몰려 8.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해마다 워낙 많은 학생들이 몰리고 있는 점을 감안해 올해에는 보다 많은 학생들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지난해 여름방학보다 인원을 900명 늘렸다”고 말했다.
 
행정사무보조와 같은 공공기관에 대학생 아르바이트 모집 지원자가 몰리는 까닭은 경기침체로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하는 곳이 예전 같지 않은데다 공공기관의 경우 상대적으로 근무조건이 좋아 선호도가 높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40대 ‘생계형 알바’ 급증

 
불황속 알바족 증가로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경기불황으로 단시간 근로자가 최근 2년 사이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40∼50대 중장년층의 알바생이 증가해 아르바이트가 이제는 '생계형 일자리'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줬다.
 
실제로 주택가 밀집 지역 등 분식점들을 들여다봐도 예전에는 대학생으로 보이는 학생들이 서빙을 하는 등 아르바이트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40대 정도의 여성들이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음식점이나 제과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대학가 근처 술집이나 음식점의 경우에 아르바이트 하는 대학생들을 볼 수 있지만 이 마저도 인건비를 아끼기 위해 인원을 조절하고 있다.
 
아르바이트를 구하는 한 대학생은 "학교 게시판을 아무리 둘러보고 생활정보지를 찾아봐도 일자리를 구할 수 없다"면서 "대학에 들어오면 꼭 해보고 싶었지만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학생 역시 "새벽 시간 인력시장에 나가봤지만 매번 허탕 치고 돌아왔다"라며 "차라리 도서관에 다니면서 공부를 하는 게 낫다 생각해 아르바이트는 포기했다"고 말했다.

대학가 불법 피라미드 기승
 
한편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직종에서 '서빙'부분이 36%로 가장 많은 구인을 하고 있었지만 구직 희망자 28%는 '매장업무'를 선호하는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아르바이트를 구하지 못한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이를 악용하는 불법 업체들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모집공고에는 ‘고수익을 보장해준다’는 내용으로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하는 불법 피라미드 판매업체에 의한 피해가 많다.
 
불법 피라미드 업체의 특징은 고수익 아르바이트 보장, 병역특례 혜택, 학자금 대출 등을 해준다고 현혹한 뒤 투자 권유, 물건 구매 강요, 강압적인 판매교육, 반품 거절을 위한 포장 개봉 등의 방법을 쓴다.
 
전문가들은 피해 예방을 위해 해당 업체가 관할 시·도에 등록돼 있고 소비자 피해 보상을 위한 공제조합에 등록돼 있는지를 확인하라고 당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