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왜 이러나…방만 경영에 시설물 부실관리
스크롤 이동 상태바
가스공사 왜 이러나…방만 경영에 시설물 부실관리
  • 김기범 기자
  • 승인 2017.10.19 23: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김기범 기자)

▲ 한국가스공사 본사 전경 ⓒ 한국가스공사

가스공사 발주 LNG 운반선 2척 인도 지연... 대체선 투입에 211억 원 낭비

한국가스공사(사장 직무대리 안완기)가 방만 경영과 지방기지 시설물 부실 관리로 연일 도마에 오르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지난 8월, 17만 4000㎥급 LNG선 2척의 인도 연기를 화주인 한국가스공사와 발주사인 SK해운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8월말 인도 예정이던 'SK 세레니티'호는 내년 2월로, 9월말 인도 예정이었던 'SK 스피카'호는 내년 3월로 6개월씩 늦춰 달라는 것이다.

문제는 가스공사가 삼성중공업에 발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송 선박에 탑재할 화물창 KC-1의 기자재인 멤브레인(저장탱크 내벽) 시트다.

멤브레인의 제작납품이 제작업체의 생산기술능력 부족으로 계획에 차질을 야기, 인도가 늦어졌고 이에 따라 수백억 원의 손실 비용이 발생된 것이다.

화물창은 LNG 선박에서 LNG를 저장하는 창고로, 영하 162도의 LNG 압력과 기화 등의 변형에 견디도록 특수 설계됐다. KC-1은 한국형 화물창을 만드는 설계기술로, 가스공사와 조선 3사(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가 약 200억 원을 들여 개발했다.

가스공사는 2015년 1월 미국 사빈패스로부터 들여올 LNG 163만t 수송을 위해 LNG 운반선 6척을 신규 건조할 계획을 세웠다. 이 중 2척에 KC-1 기술이 적용된 화물창을 탑재하기로 하고, 삼성중공업과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5월 선박에 탑재할 KC-1 화물창 멤브레인 공급을 KLT(한국형 멤브레인 제작판매 업체)와 30억 원에, KLT는 같은 해 6월 TMC(KC-1 금형제작 업체)와 KC-1 생산용 금형 제작을 계약 맺었다.

계약대로라면 KC-1 멤브레인은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4회에 걸쳐 삼성중공업에 납품되고, 삼성중공업은 이를 탑재한 LNG 선박을 건조해 2017년 8월 30일과 9월 30일에 가스공사에 인도했어야 했다.

그런데 국내기술로 처음 LNG 탱크를 제조하다 보니 결함이 발생한 것이다.

이로 인해 KLT와 TMC는 KC-1 멤브레인을 지난 8월 25일부터 납품했고, 그 여파로 삼성중공업의 LNG 선박 인도는 내년 2월 10일과 3월 10일로 미뤄졌다.

결과적으로 제작업체의 생산기술능력 부족으로 선박건조사인 삼성중공업의 요청일로부터 최대 5개월이 지연된 셈이다.

결국 가스공사는 발주사인 SK해운에, SK해운은 선박 건조업체인 삼성중공업에, 삼성중공업은 멤브레인 제작업체인 TMC에, TMC는 멤브레인 설계업체인 KC에 각각 지체상금을 요구했다.

KC는 가스공사 자회사다. 책임의 원점이 다시 가스공사로 돌아온 것이다.

KC-1 멤브레인 5개월 납기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은 최대 88억 원이며, LNG 선박 건조·인도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은 228억 원이 발생했다.

여기에 가스공사는 2척의 LNG 선박 건조가 늦어지자 별도의 선박 3척을 투입했다. 대체선 투입에 따른 총 발생비용은 약 1868만 달러(약 211억 원)다.

가스공사는 "TMC사가 전문 인력이 부족해 KC-1 생산용 금형제작을 적기에 제작하지 못했다"고 설명했지만, KC-1 멤브레인의 납기가 늦어지자 납품을 위해 충분한 안전성 점검 없이 설계 변경으로 두께를 줄였다는 비판도 받았다.

가스공사는 안전성 허용 범위 내에서 기준을 완화했다고 해명했지만,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정훈 의원(자유한국당)은 "가스공사는 KC-1 멤브레인 기술의 총괄 책임기관으로서 설계기준에 맞는 KC-1 멤브레인을 제작하지 못했고, 기자재 납품 지연으로 막대한 지체상금을 발생시켰다"며 "별도의 용선 구매 비용까지 집행하게 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 한국가스공사 인천생산기지 전경 ⓒ 한국가스공사

가스공사 지방기지의 LNG 저장탱크도 결함 발견

한편, 한국가스공사 인천 및 평택기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저장탱크도 대규모 결함이 발견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인천 및 평택기지본부의 LNG 저장탱크를 점검한 결과 총 226건의 결함이 발생했다.

가장 많은 결함이 확인된 부분은 기둥으로 총 219건(인천기지 181건, 평택기자 38건)이 발생해 전체 결함의 97%를 차지했다. 그 외에 면진패드에서 4건, 바닥 슬래브에서 3건의 결함이 발생됐다.

기둥결함의 경우 세부적으로는 △균열발생 177건 △기둥 박락(오래돼 긁히고 깎여서 떨어짐) 21건 △박리(껍질 따위가 벗겨짐) 9건 △재료분리 5건 △시공미흡 3건 △철근노출 2건 △열화연상 2건으로 나타났다.

LNG 저장탱크를 떠받치는 기둥은 최대 270t의 하중을 받아 균열이나 박락을 방치하면 해풍이 유입되면서 기둥 내부 철근의 부식을 유발해 파손의 가능성을 높인다.

기둥이 파손돼 하중을 견디지 못하면 다른 기둥에 더 많은 하중이 전달돼 결국 저장 탱크 시설의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다.

생산기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관리 기준상 기둥 균열 폭 허용치는 0.3㎜ 미만이지만, 발견된 균열의 상당수는 허용기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균열 폭이 0.3㎜ 이상으로 허용치를 넘어선 균열은 90건에 달하며, 심지어 균열 폭이 최대 2.0㎜로 허용치의 6배 이상에 이르는 균열도 17건이나 발견됐다.

가스공사의 안전점검 실태도 문제다. 가스공사는 2014년 기둥에 다수의 균열을 발견했지만, 정밀점검보고서에 누락시키고 '균열이 전혀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 2015년 가스공사가 저장탱크 정밀안전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할 때, 저장탱크시설의 하부구조를 제외한 채 안전진단이 실시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지난해 12월에 감사가 이뤄질 때까지 저장탱크 시설에 대한 일상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는 등 유지관리를 소홀히 했다는 지적도 받았다.

이훈 의원은 "LNG 저장탱크는 1급 기밀시설로 그 어떤 시설보다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데, 현실은 허점투성이 기둥으로 1급 시설을 떠받치는 형국"이라고 비판했다.

담당업무 : 에너지,물류,공기업,문화를 담당합니다.
좌우명 : 파천황 (破天荒)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