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e) 정치는 시대흐름>
YS 차남 현철씨 e-정치 최초도입
스크롤 이동 상태바
<이(e) 정치는 시대흐름>
YS 차남 현철씨 e-정치 최초도입
  • 정세운 기자
  • 승인 2010.12.14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당선은 발로부터 나오지 않고 손으로부터 나온다’
이제 선거의 주인공은 ‘인터넷’이다. 인터넷은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즌 간의 강력한네트워크를  형성해 기존 조직에 도전했고, 그 결과 ‘당선자’를 탄생시켰다. ‘당선은 발로부터 나오지 않고 손으로부터 나온다’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e-정치는 이제 대세다. 발로 뛰며 자신 알리기에 나섰던 후보들은 컴퓨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앞세워 유권자 옆으로 다가서고 있다.
 
▲ 원희룡 한나라당 사무총장 트위터.     ©시사오늘
 
그렇다면 컴퓨터를 이용한 과학적인 선거전략, 즉 e-정치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기는 언제쯤이며 어떻게 발전해 나가고 있을까. 선거에 과학적 기법이 도입된 시기는 대체적으로 87년 말로 본다. 물론 국가 정보기관이 그 이전부터 권력을 통해 자료를 수집, 선거에 이용해 왔지만 최초의 과학적인 사설 선거전략기관은 ‘중앙조사연구소’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중앙조사연구소는 당시 김영삼(YS)통일민주당 총재의 차남이던 현철씨가 87년 대선이 끝난 뒤 패인을 두 가지로 생각하고 만들었다. 당시 현철씨는 여론조사를 통한 과학적인 선거에서 졌고, 홍보전에서 패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에 현철씨가 여론조사가관인 중앙조사연구소를 만들어 처음 선거에 이용했다.

당시 만해도 YS와 민주계 인사들은 여론조사 등 과학적인 선거전략의 중요성을 몰랐다. 하지만 현철씨의 중앙조사연구소가 이듬해 총선에서 평민당이 제1야당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그 예상이 맞아떨어지자 과학적인 선거전략이 대두됐다.

중앙조사연구소가 이용했던 통계 패키지는  ‘GPSS'. 당시 독일에서 공부했던 E여대의 김모교수가 5.3인치 디스켓을 통해 한국으로 가지고 와 처음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이다.

당시 통계프로그램은 ‘SPSS'가 전부였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중앙조사연구소는 좀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해 새로운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여의도연구소 김현철 부소장은 지난달 30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GPSS라는 통계 패키지는 다른 것과 비교해 보면, 모집단을 정확히 찾아내 주는 장점이 있었다”며 “이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25년이 지난 지금 e-정치는 보편화 돼 있다.

클릭한 횟수만큼 정치인에게 후원금을 몰아준다는 ‘정치후원금’ 사이트도 생겨났다. 정치인의 주가를 환산해 공시하는 포스닥(www.posdaq.com)은 정치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또한 정치학자, 현역기자, 국회의원, 각 지역의 당직자들이 참여하는 인터넷 언론들이 생겨나면서 기존 오프라인 매체들이 지면상의 이유로 쓰지 못한 정치권의 상세한 움직임을 제공하고 있다.

때문에 인터넷 신문이나 방송국은 이미 오프라인 매체들의 힘을 능가하고 있다. 대통령이나 각 당의 대표들은 인터넷 매체와의 인터뷰를 마다하지 않고 있다. 정치인들의 선거자금은 물론 정치자금 씀씀이를 찾아 추적한 자료를 공개하는 사이트도 있다.
 
여기에 최근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일명 쇼셜네트워크(Social Networking Service)가 신종 선거기법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정치인들은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을 통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

대부분의 정치인들은 ‘젊은 이미지 구축’이나 사소한 오해해 대해 빨리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이처럼 단순한 여론조사에서 시작한 과학적 선거기법이 이제는 상상을 초월해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e-정치가 확대되면서 정치방식도 상당부분 달라지고 있다.
 
또한 유권자들의 생각이 잘 전달돼 이견이 많이 좁혀진 상태다. 한마디로 ‘전자 민주주의’ 시대의 막이 오른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긍정적인 측면뿐 아니라 부정적인 면도 e-정치에 잘 나타난다. 익명성을 전제로 상대후보나 상대 당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각 사이트의 게시판에 올라오는 글들은 차마 입에 담지 못 할 정도다.

또한 사람들을 동원해 인터넷에서 행해지는 각종 여론조사를 조작하는 사례도 e-정치의 한계를 잘 보여준다.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이 쓰는 글들이 일반들 모두에게 공개돼 오히려 악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자칫하다간 구설수에 오를 수도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