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로 보는 정치] 근대화를 버린 청과 조선의 지배층과 정용기 발언
스크롤 이동 상태바
[역사로 보는 정치] 근대화를 버린 청과 조선의 지배층과 정용기 발언
  • 윤명철 기자
  • 승인 2019.06.01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권 재탈환을 원한다면 제1야당 기득권을 버려야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윤명철 기자]

근대화의 길목에서 기득권에 취해 국가의 멸망을 자초했던 청과 조선의 지배층의 길을 따라간다면 자유한국당의 미래도 없다. 사진(좌) 망국의 군주 고종의 장례식 (우) 정용기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 사진제공=뉴시스
근대화의 길목에서 기득권에 취해 국가의 멸망을 자초했던 청과 조선의 지배층의 길을 따라간다면 자유한국당의 미래도 없다. 사진(좌) 망국의 군주 고종의 장례식 (우) 정용기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 사진제공=뉴시스

19세기 중엽 청과 일본, 조선은 국가의 운명이 걸린 결단의 순간이 다가왔다. 청은 서양 제국주의와의 대결인 1~2차 아편전쟁에서 패배해 국가 개조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증국번, 이훙장 등 일부 한인 관료와 지식인들은 우수한 서양의 과학기술문명을 수용하자는 ‘양무운동’을 펼쳤다.

하지만 청은 구시대적인 중화사상을 버리지 못했다. 중국이 세상의 중심이라는 기존의 관념을 버리기에는 역사 의식이 절대 부족했다. 특히 과거제와 토지를 독점한 기득권층은 근대화가 필요하지 않았다. 조국의 미래보다는 자신들의 기득권 사수가 더 중요했다.
 
조선도 마찬가지였다. 운요호 사건으로 일본에 의해 강제로 개항을 선택했지만, 영원한 주군은 청이라는 고리타분한 사대의식을 버리지 못했다. 세도정치를 종식시킨 대원군을 몰아낸 민씨정권은 임오군란을 계기로 청의 개입을 자초했고, 자주 개혁을 스스로 포기했다.
 
청은 속국 조선을 일본에게 빼앗기기 싫었다. 청프 전쟁을 치루고 있는 급박한 상황인데도 일본의 후원을 받는 김옥균, 박영효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을 진압하기 위해 조선에 군대를 파병했다. 조선은 다시 청의 내정간섭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민씨정권의 관심사는 근대국가 조선이 아닌 권력 유지였다. 결국 조선의 자주개혁은 좌절됐고, 일제의 식민지가 됐다.
 
반면 일본은 미국 페리제독의 함포 외교에 굴복해 강제로 개항했지만 세계사의 조류를 제대로 읽었다. 일본은 근대화를 위해 구시대와의 단절을 선택했다. 700년에 걸친 막부시대를 종식하고 메이지유신을 단행했다.
 
일본의 지배층은 징병제를 실시하고 근대적인 토지제도를 실시했다. 특히 중화질서권의 탈피는 현명한 선택이었다. 서구 문물을 도입하기 위해 서양 각국에 유학생을 파견해 근대화의 역군으로 양성했다.
 
근대화의 상징인 철도 부설, 전신선 설치, 유럽식 은행 제도 도입, 근대식 공장이 아시아 최초의 근대국가 일본으로 변모시켰다. 국가 지도층의 의식이 동아시아 삼국의 운명을 뒤바꾼 것이다.
 
자유한국당이 황교안 대표 체제 이후 안정을 되찾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이 대안세력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을 찾기는 쉽지 않다. 문재인 정부가 경제와 대북정책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는 반사이익에 겨우 명맥을 이어가고 있을 뿐이다.
 
또한 잊을 만하면 터져 나오는 참을 수 없는 가벼운 망언은 정권 재탈환을 원하는 보수 지지층의 외면을 자초하고 있다. 정용기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이 지난달 31일 “문재인보다 김정은이 낫다”는 망언을 내뱉았다. 이는 극우세력의 호응과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포퓰리즘일 뿐이다.
 
자유한국당의 지도부가 극우세력의 열띤 호응의 단맛을 잊지 못한다면 정권 재탈환은 요원하다. 근대화의 길목에서 기득권에 취해 국가의 멸망을 자초했던 청과 조선 지배층의 길을 따라간다면 자유한국당의 미래도 없다. 정권 재탈환을 원한다면 제1야당 기득권의 꿀맛을 버려야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