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에서 정용진까지] 기업인 ‘대망론’…등장할 수 있을까?

김종인 “대선후보, 1970년대생·경제전문가였으면” IMF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기업인 출마설 거론 2022년 대선 상황…정주영·김우중 소환 때와 비슷

2021-01-30     정진호 기자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정진호 기자]

역사적으로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은 어때요?”

2021년 1월 어느 날 서울 여의도 모처. 점심식사 자리에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가 느닷없이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이름을 꺼냈다. 황당해하는 참석자들의 반응에, 그는 몇 가지 이유를 설명했다.

“SNS로 젊은 사람들하고 소통을 많이 해서 그런지 대중성이 높더라고요. 인지도야 당연히 높고. 좀 알아보니까 모교(경복고) 동창회에 가서 연단에 서서 연설도 했다고 들었는데. 동기 송년모임에도 꼬박꼬박 얼굴을 비춘다고 그러고. 재벌 2세가 그러기 쉽지 않거든요. 스킨십이 좋은 거지. 어찌 보면 제일 파괴력 있는 인물이 아닐까요. 하하.”

그러면서 그는 마지막으로 한마디를 덧붙였다.

“무엇보다 기업인이잖아요. 지금 우리 당에 꼭 필요한.”

 

김종인이 ‘경제전문가’ 외친 까닭은


김종인

‘아이디어 차원’이라고 의미를 축소하기는 했지만, 사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 입에서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이름이 나온 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실제 출마 가능성보다는 ‘재벌 2세’ 정 부회장이 갖는 상징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 부회장의 이름이 거론되는 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내건 차기 대선후보 조건과 무관하지 않다. 김 위원장은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자리를 수락한 직후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가급적이면 1970년대생 가운데 경제에 대해 철저하게 공부한 사람이 후보로 나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당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치료법을 내놓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김 위원장이 ‘1970년대생 경제전문가’를 거론한 까닭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된다. 우선 ‘1970년대생’이라는 조건에 대해서는 김 위원장 스스로가 답을 내놨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세대가 바로 3040으로, 그들의 마음을 잡지 못하면 2년 후 대선을 치를 수 없다”는 이유다.

‘경제전문가’를 내세운 것은 ‘결핍에 대한 대안 차원’이라는 해석이다. 정세운 정치평론가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판결에 대한 여론조사를 보면, 우리 국민은 문재인 정부가 기업인들을 과하게 탄압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며 “게다가 경제 상황도 꾸준히 나빠지고 있는 상황이라, 기업인들의 정치 진출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오마이뉴스>가 의뢰하고 <리얼미터>가 1월 19일 수행해 20일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6.0%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 대한 판결이 ‘과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볍다’는 24.9%, ‘적당하다’는 21.7%였다. 특히 보수층에서는 ‘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65.6%에 달했다.

또 한국은행이 1월 26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에 따르면,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1.0%를 기록했다. 1998년 외환위기(-5.1%)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러다 보니 차기 대선을 즈음해 기업인이 정치 전면에 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정치 불신과 분노…정계 뛰어든 정주영


정치인에

그렇다면 역사는 기업인의 대선 출마 가능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이른바 ‘재벌’이 정치에 등장한 사례는 총 세 번 있었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과 정몽준 전 현대중공업 회장, 그리고 일반 국민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선 출마 직전에 다다랐던 것으로 전해지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그들이다.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당선되며 국회의원으로 정치를 시작한 정몽준을 제외하면, 한 순간 대권 후보로 떠오른 정주영과 김우중 사이에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스스로의 욕망 이전에, 그들이 정치로 나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점이다. 먼저 정주영은 기업인에 대한 정치인의 부당한 대우에 분노를 느껴 정치에 뛰어든 케이스다.

1988년 ‘5공 청문회’에서 “돈 안 주면 재미없을 것 같아 줬다”며 노골적으로 정치권에 불만을 표출했던 정주영은,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정치에 대한 불신(不信)을 드러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자서전 <신화는 없다>에 따르면 정주영은 정치인들이 기업인들의 ‘단물’을 빼먹으면서도 기업인을 무시한다고 깊이 상심했고, 자신이 직접 정치를 해 이러한 인식을 바꿔보겠다는 마음을 먹었다고 한다.

정주영은

실제로 정주영은 통일국민당 창당이 가시화되던 1992년 1월 8일, 군사독재정권에게 거액의 정치자금을 상납해왔음을 폭로하며 정치권에 대한 분노를 유감없이 드러냈다. 다음은 당시 기자회견에 대한 언론 보도 내용이다.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8일 “3공 이후 현 6공 정권에 이르기까지 추석과 연말 때 등 연 2차례씩 정치자금을 제공해왔다”면서 “그러나 2년 전부터 현 정권과 관계가 냉랭해지면서 정치자금기탁을 중단해왔다”고 말했다.
정 씨는 이날 오후 청운동 자택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이 말하고 “3공 때는 연 10억~40억 원, 5공에는 연 50억~60억 원씩, 6공에는 60억~100억 원씩을 직접 통치자에게 건네주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현 정권 초기에는 추석과 연말에 각각 20억, 30억 원씩 주었으나 육감적으로 적은 것 같다고 판단, 액수를 올려 모두 30억 원씩 주어오다가, 한 차례 50억 원을 낸 뒤 2년 전 맨 마지막에는 100억 원을 회사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이 자금은 내 뜻대로 불우이웃돕기에 쓰여졌을 것으로 믿는다”고 부연했다.
1992년 1월 9일자 <조선일보>

같은 날 인터뷰에서도 그는 자신의 정계 입문 동기가 정치권에 대한 분노와 불신이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정치 참여의 동기는 무엇이며 구상은 언제부터 했는가.
“지난 80년 산업통폐합 당시 기업인이 아무리 열심히 해도 정치가 올바르지 못하면 한계가 있다는 생각을 했다. 이때부터 기업을 제대로 하려면 언젠가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돈으로 정치를 산다는 비난이 있는데.
“그런 여론이 있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돈으로 정치할 것이라는 생각은 기우다. 정치자금을 내본 사람으로서 정경유착의 생리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내가 나서서 그러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겠다. 그래야 정치와 경제가 올바로 된다.”
1992년 1월 9일자 <경향신문>

그리고 창당 한 달여 만에 치른 제14대 총선에서, 정주영은 청와대 정치자금제공, 청와대 건축비 청구소송 등 폭로성 정치공세를 펼쳤다. 기존 정치인들을 ‘구시대적이고 부패한 세력’으로 몰아붙여 기업가 출신인 자신을 대안 세력으로 포지셔닝하려는 전략적 의도였다. 이 같은 정주영의 생각은 제대로 맞아떨어져, 통일국민당은 무려 31석(지역구 24석)을 획득하며 돌풍을 일으킨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정주영은 그해 12월 열린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통일국민당 후보로 출마했다. 결과적으로 대선에서 낙선하며 그의 발걸음은 대권 직전에 멈춰서야 했지만, 기업인에 대한 부당한 대우가 어떤 나비효과를 일으키는지를 보여준 사례가 됐다.

 

경제 위기·보수 인물난에 소환된 김우중


IMF

김우중은 경제 위기와 보수의 위기가 겹치면서 불려나온 케이스다. 사실 김우중은 1992년 제14대 대선 때도 출마 가능성이 언급됐던 인물이었다. 그 스스로 “정치에 참여해 정치판에 자극을 주고 싶었다”고 인정했을 정도다. 그러나 YS(김영삼 전 대통령)와 DJ(김대중 전 대통령)에 정주영까지 참여한 대선 구도에 그가 끼어들 틈은 없었고, 김우중은 불출마를 선언하며 기업인으로 남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1997년 제15대 대선 때는 상황이 달라졌다. 당시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라는 미증유(未曾有)의 경제 위기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다 보니 이전 대선까지 핵심 쟁점이었던 지역주의, 색깔론, 민주화 등은 힘을 잃었고, ‘누가 경제를 살릴 것이냐’가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그러나 법조인 출신인 한나라당 이회창·국민신당 이인제 후보와 정치권에서 잔뼈가 굵은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는 국민이 원하는 ‘경제전문가’와는 거리가 있었다.

반면 김우중은 성공한 기업가였을뿐만 아니라, IMF 외환위기가 한창이던 1997년 12월 <포춘(FORTUNE)>지가 선정한 ‘97 아시아 기업인’에 선정될 정도로 성공 가도를 달리고 있었다.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미국 경제전문지인 ‘포춘’이 뽑은 ‘97 아시아 기업인’에 국내 기업인으로 유일하게 선정됐다.
이 잡지 98년 신년호는 처음 실시한 올해의 아시아 기업인 선정에서 김 회장과 홍콩의 이가성 청콩회장, 피터 수치 홍콩스와이어퍼시픽 회장, 일본의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사장 등 4명을 선정했다.
포춘은 기사에서 “한국 경제가 IMF에서 긴급자금 지원을 받는 상황에서도 김 회장을 대표적 아시아 기업인으로 선정한 것은 세계 경영을 통해 자동차 산업에서 역할을 크게 확장한 공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잡지는 또 경제난에 처한 한국의 다른 대기업들처럼 김 회장도 임원 급여를 15% 삭감하고 접대비 등 경비를 절반으로 줄이는 조치를 시행했지만 대우는 국내 시장에 치중하지 않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어 다른 한국 기업들에 비해 우량한 상태라는 점도 지적했다. (후략)
1997년 12월 31일자 <매일경제>

당시

이런 상황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아들의 병역비리 의혹이 터져 나왔다. 이 의혹은 ‘대세론’을 형성하며 앞서나가던 이회창의 발목을 잡았다. 1997년 10월 20일자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이 시기 세 후보 지지율은 DJ 34.6%, 이인제 23.1%, 이회창 13.2%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바로 이때 떠오른 인물이 김우중이었다.

신한국당 내의 ‘후보 교체론’은 내부에서도 실현 가능성을 믿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은, 말하자면 하나의 가설이다. 따라서 후보교체를 전제로 한 대안론도 ‘가설의 가설’ 수준에 불과하다.
실현 가능성이야 어떻든 대안론이 무성한 쪽은 당내 비주류 민주계와 소장그룹이다. 한 가지 범주류에 속하는 민주계의 김덕룡 선대위원장 진영에서 대안론이 흘러나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민정계의 김윤환 선대위원장은 “대선이 두 달도 안 남은 시점에서 후보를 바꾸기도 어렵고 후보를 바꾼다고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지도 않다”고 말한다.
아무튼 실현 가능성과는 별개로 당내에서 ‘대타’로 거론되는 인사로는 이한동 대표, 박찬종 선대위원장, 이홍구·이만섭 고문 등이 꼽힌다. (중략)
극소수지만 김우중 대우그룹회장이나 강영훈 전 국무총리 등도 거론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당 관계자들은 비정치권 인사의 영입은 더욱 위험하다며 고개를 젓는다.
1997년 10월 21일자 <동아일보>

당시 선대위원장을 맡고 있던 김덕룡도 지난해 12월 <시사오늘>과 만난 자리에서 “김우중 씨로 후보를 교체하자는 논의가 진지하게 오갔던 건 사실”이라고 증언했다. 물론 김우중의 출마는 현실화되지 않았지만, 경제 위기 상황에서 보수가 흔들리자 기업인이 ‘구원 투수’로 진지하게 거론됐던 셈이다.

IMF

그렇다면 차기 대선에서 기업인이 ‘제3후보’로 등장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정치 상식’에 비춰보면,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역대 대선에서 선거 1년 전까지 후보로 거론조차 되지 않던 인사가 ‘깜짝 등장’하는 경우는 없었기 때문이다. “정치는 종합 예술”이라는 말처럼, 정치 경험이 없는 기업인이 한 순간에 대선 후보로 도약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경제가 무너진 상황에서 여론조사처럼 ‘기업인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적지 않다면, 더욱이 보수 진영에 마땅한 대권 주자가 없는 지금이라면, 기업인이 정치 전면에 나서는 것도 전혀 불가능한 일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과연 차기 대선에서 ‘제2의 정주영’은 등장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