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복귀·아들 승진…동국제강, 인적분할·지주사 전환에 쏠린 눈

오너일가 경영권 강화 기틀 마련…경영 승계 가시권 진입 분석

2022-12-12     장대한 기자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장대한 기자]

동국제강은

동국제강이 철강사업 인적 분할과 지주사 설립 등 지배구조 개편에 나섬에 따라 오너일가(家)의 경영권 승계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특히 최대주주인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의 오는 2023년 경영 복귀 예고, 아들인 장선익 상무의 전무 승진 소식이 함께 전해져 부자(父子)의 사내 장악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1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동국제강은 지난 9일 회사분할결정을 공시함과 동시에 주주총회소집결의를 통해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의 사내이사 신규선임 안건 상정 소식을 알렸다.

장세주 회장은 2015년 6월 25일 회령·배임에 따른 구속과 오너리스크로 인한 책임을 지고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난 바 있다. 다만, 회장 직함은 유지하며 동국제강 미등기임원 명단에 계속 이름을 올렸다. 또한 동생인 장세욱 부회장을 경영 전면에 내세운 '형제경영'으로 실질적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오너 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었다.

이어 장 회장은 지난 8월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았다. 내년 5월 17일 본사에서 개최 예정인 임시주총을 무사히 넘기만 하면 8년 만에 사내이사 복귀를 이루게 된다. 임기는 2년이다. 장 회장의 복귀는 시기적으로도 회사가 경영 정상화 기틀을 마련한 상황이어서 나쁘지 않다는 평가다. 

실제로 동국제강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속도감있게 진행한 결과, 중국 법인(DKSC) 지분 정리와 브라질 CSP 지분 매각 결정, 부채비율 두 자릿수 진입 등 성과를 이뤘다. 그리고 이젠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철강 사업 고유 영역에서 전문성과 성장을 추구하기 위한 지주사 체제 전환과 사업 인적분할을 앞두고 있는 것이다.

동국제강

장세주 회장의 장남인 장선익 상무의 향후 행보에도 이목이 쏠린다. 장 상무는 최근 단행한 정기임원인사를 통해 인천공장 생산담당 상무에서 구매실장 전무로 승진했다. 공장 등의 현장에서 경영수업에 주력했던 장 전무의 본사 입성은 경영권 승계가 멀지 않았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부친까지 등기 임원에 복귀하면 장 전무의 어깨에는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최근 장 전무는 승진·보직변경을 통해 회사 내 입지를 넓히는 것은 물론, 지분율까지 차곡차곡 늘리고 있다.

2016년 말 이사 신규 선임과 함께 0.4%의 지분율 소유를 신고했던 장 전무는 2019년 8월 지분 10만 주를 매입해 지분율을 0.1% 늘렸다. 동국제강 주가가 크게 떨어졌던 2020년 3월부터는 10차례에 걸쳐 지분을 계속 매입, 지분율을 0.83%까지 확대했다. 특히 주가 하락장에서 지분을 꾸준히 모은 건 책임경영의 의미와 함께, 상대적으로 적은 돈으로 회사 지분을 늘리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뒀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선 장선익 전무의 승진과 맞물려 오는 2023년 주총을 통해 지주사 체제 전환, 장세주 회장(지분율 13.94%)의 경영 등판이 본격 이뤄지면, 이들 부자를 비롯한 동국제강 오너일가의 경영권이 한층 공고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적분할로 주주의 분할 회사에 대한 지분율이 그대로 승계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장세주·장선익 부자의 영향력은 분할 후에도 변함없이 유지된다. 신설회사인 동국제강(열연사업)과 동국씨엠(냉연사업)의 주식을 동일 비율로 갖게 되는 덕분이다.

오히려 뒤따르는 지주사 전환 작업(주주 대상 공개매수 방식의 현물출자 유상증자)으로 인해 신설 사업회사의 주식을 지주사에 넘겨주는 대신 그 가치 만큼을 지주사 신주(새로 발행된 기명식 보통주식)를 받게 돼 지배력을 크게 늘릴 수 있을 전망이다. 핵심 컨트롤타워인 지주사 내에서의 경영권을 확고히 하고, 신설 사업회사에 대한 실질적 지배력까지 키울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번 사업 분리와 지주사 전환 카드가 장세주·장선익 부자에게 향후 경영승계의 밑바탕이 될 지주사 지분율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기회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다.

한 업계 관계자는 "회사 인적분할을 택함으로써 포스코 물적분할 사례 때와 같은 반대 여론을 피하게 된 것은 물론, 향후 오너일가의 지분율 증가를 이룰 수 있는 실리까지 챙기게 됐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동국제강의 한 관계자는 "일련의 과정들은 기업 투명성 제고와 대주주의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