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과 2030의 동행은 계속될까 [기자수첩]

2030과 60대 이상의 결합은 정권교체 위한 임시동맹…공유할 수 있는 철학 정립해야

2023-05-17     정진호 기자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정진호 기자]

2030과

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은 전체 의석의 60%에 해당하는 180석을 획득했습니다. 그러나 1년 후 치러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는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에게 18.32%포인트 차로 완패했고, 다음해 열린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도 국민의힘이 5년 만에 정권을 되찾는 데 성공합니다.

이처럼 1년 새 선거 결과가 뒤바뀐 데는 2030의 ‘변심’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21대 총선 때까지만 해도, 2030은 민주당을 강하게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오히려 50대(49.1%)보다 20대(56.4%)와 30대(61.1%)가 더 많은 표를 민주당에 던졌을 정도입니다. 이 같은 2050 세대연합은 민주당의 대승을 이끈 원동력이었죠.

하지만 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를 기점으로 2030의 표심이 변화합니다. 이 선거에서 20대는 55.3%가, 30대는 56.5%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를 지지했습니다. 제20대 대선에서도 20대의 45.5%가, 30대의 48.1%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에게 표를 주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생을 이끌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내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은 2030의 표심을 붙잡아두는 겁니다. 4050의 민주당 지지세가, 60대 이상의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고한 상황에서 선거 승패는 2030에게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까요. 그런데 최근 국민의힘의 모습을 보면 ‘4050 포위’보다는 ‘2050 세대연합’이 복원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사실 2030와 60대 이상의 만남은 ‘임시 동맹’ 성격이 강했습니다. 양자의 결합은 늘 국민의힘을 지지하던 60대 이상과, 문재인 정부의 불공정에 반발한 2030이 국민의힘으로 이동하면서 조우(遭遇)한 형태였기 때문입니다. 그저 ‘정권 교체’라는 목적을 위해 손을 잡았을 뿐, 2030과 60대 이상이 공유하는 특정한 가치관이 존재하는 건 아니었습니다.

그렇다면 정권 교체 후 국민의힘이 해야 할 일은 2030과 60대 이상이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철학’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임시 동맹을 영원한 동맹으로 묶어둘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했죠. 환경도 조성돼 있었습니다. 2030과 60대 이상은 모두 문재인 정부가 불공정하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습니다. ‘공정한 사회’라는 목표를 매개로 2030과 60대 이상을 한데 묶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었죠.

하지만 지난 1년간 국민의힘에서는 이런 모습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정권교체로 모든 숙원을 다 이룬 듯, 권력 다툼에만 골몰하는 모양새였습니다. 현직 대표를 인위적으로 몰아내고, 당내 비판을 ‘내부 총질’로 몰아붙이는 행태에서는 ‘꼰대스러움’마저 느껴졌습니다. 그 과정에서 2030과 60대 이상을 묶어낼 수 있는 ‘공정과 상식’이라는 가치는 시나브로 소진되고 있습니다.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와 제20대 대통령선거, 제8회 지방선거에서 2030이 국민의힘을 선택한 건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감이 주원인이었습니다. 즉, 정권교체가 이뤄진 지금은 2030이 굳이 국민의힘에 표를 던질 이유가 없다는 뜻입니다. 내년 총선까지 남은 시간은 1년여. 그 안에 2030과 60대 이상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된 가치를 정립하지 못한다면, 국민의힘과 2030의 동행은 여기까지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