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tvN 드라마 시리즈가 이번엔 1980년대로 돌아갔다. 1997년, 1994년까지 과거 여행을 성공적으로 마친 시리즈는 당대를 풍미한 음악과 패션까지도 다시 주목받게 할 정도로 흥행에 성공했다. 잊고 지내던 90년대 가수들의 복귀가 잦아진 것도 그 영향이었다. 한마디로 시리즈는 복고 열풍의 주역이 된 셈이다. 그러나 2년 전 가 종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그보다 오래 전으로 돌아가는 건 '무리수'라고 단정했다. 80년대를 다루기에는 상대적으로 젊은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지난 6일, 세 번째 시리즈 이 공개됐다. 복고패션이라 하기에도 민망한 머리모양과 옷, 유머라고 하기에도 생경한 유행어가 브라운관에 가득 찼다. 그럼에도 시청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동안의 걱정을 불식시키기에 충분했다. 여주인공 '성덕선'과 그녀의 동네 친구들은 단 1회 만에 시청자들을 사랑에 빠뜨렸다.의 지속적인 인기비결은 바로 매 시리즈의 중심에 '청춘'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시대라고는 하지만 주인공들은 지금 젊은이들과 다를 바 없다. 쑥스러워 부모님께 애정표현도 못하는 무뚝뚝한 아들, 매년 생일 때마다 언니한테 가려 축하받지 못하는 둘째의 서러움, 짝사랑하는 친구와 가벼운 약속에도 예뻐 보이고 싶어 어설프게 화장하는 소녀. 실제 80년대를 보냈던 시청자들은 이 드라마를 통해 '생기 넘치던 그 시절'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 청춘의 적당할 줄 모르는, 뜨겁고 복잡한 감정 선은 지금 세대를 비롯, 어느 세대나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요소다. ‘복고’현상은 드라마뿐 아니라 현실에서도 나타났다. 지난달, 청년세대가 거리로 나선 것이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를 외치는 대학생 행진은 80년대 민주화운동 시절 거리 위의 청춘을 떠올리게 했다. 말하자면 현실판 이다.

커버스토리 | 오지혜 기자 | 2015-11-14 11:00

국정화 정국 속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국회 파행을 두고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5일 만났다.새누리당 조원진, 새정치민주연합 이춘선 원내수석은 이날 오후로 예정돼 있는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 양당 원내대표 회담을 위한 의제 조율을 논의했다.조 원내수석은 "지난 3일 하려던 '원포인트 국회 본회의'를 오늘 오후, 내일이라도 여는 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야당 이야기도 충분히 듣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을 하겠다"고 말했다.그는 특히 "정치적 현안은 오늘 정리하고 싶다"고 강조하면서 "선거구 획정 시기는 13일로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이 원내수석은 우선 국회의장 중재 원내대표 회담과 관련 "만나기로 한 건 맞지만 오후 3시30분은 아니었다"며 시간을 미리 확정·공표한 여당을 비난했다. 그는 또 민생 문제가 시급하다는 데는 동감한다면서도 "색깔론이 된 국정화 문제를 정부여당이 강행하면서 또 아무 일도 없었다는 것처럼 민생을 논하자는 건 전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아울러 이 원내수석은 "예산 심사는 다음 주라도 정상화되면 문제없을 것"이라며 "누리과정, 중소기업, 청년일자리 창출 그런 것을 같이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5-11-05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