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순    인기순

"어른들이 우리의 미래를 망쳤다."브렉시트(Brexit) 발표 당일이었던 지난 24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인용한 젊은 독자들의 목소리다.세계의 이목은 경제적 여파에 쏠린 가운데, 내부에서는 브렉시트로 인한 사회적 분열 양상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국민투표 과정에서 세대 간 간극이 분명히 드러난 데 따른 것이다.영국 국영방송 <BBC>가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를 분석한 데 따르면, 유권자 1만 2369명 중 18세~24세는 73%, 25~34세는 62%가 EU 잔류를 지지했다. 그러나 45~54세를 기점으로 잔류 대 탈퇴 비율이 뒤집히면서 65세 이상에서는 60%가 탈퇴에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장·노년층의 탈퇴 선호에는 대영제국에 대한 향수와 반(反) EU 정서가 깔려있다는 게 중론이다. 탈퇴 캠페인 측이 '통제권을 찾아라(Take Back Control)'을 표어로 걸고, 그 근거로 '영국에 누가 입국할지 우리가 결정할 수 있다' '우리 법을 다시 만들 수 있다'를 내세운 것 모두 동일한 맥락이다.그러나 영국이 지난 1973년 유럽경제공동체(EEC) 가입한 이래 통합 유럽의 일원으로 자라온 젊은이들은 "우린 영국인이 아닌 유럽인"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이는 EU 탈퇴로 인한 경제적 불이익과 직결된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6-27 16:38

야당 불모지 대구에서 4수만에 당선돼 '잠룡' 반열에 오른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이 대선을 앞두고 야권 단일화에 대한 새로운 화두를 던졌다.김부겸 의원은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20대 총선평가와 2017년 정권교체를 위한 확장 전략' 토론회에 참석, "얼마 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와서 쫙 흔들고 갔다. 반 총장의 지지율이 과거 새누리당 지지율을 웃돌고 있다"고 말했다.이어 김 의원은 "그럼 이번에 국민의당이나 어쩔 수 없이 더민주당을 찍었던 소위 '합리적인 보수' 표가 대선 때 되면 어떻게 되겠냐"면서 "그때는 새누리당에서 훨씬 매력적인 후보가 나올 것이고, 야권이 분열된 구도 속에서 이길 수 있을 것이라는 교만한 소리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이같은 발언은 지난 총선 이후 야권 내부에서 '후보 단일화 무용론'이 팽배해진 데서 나온 것이다.사실 총선 직전까지만 해도 더민주당과 국민의당에 후보 단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셌다. 야권이 분열하면 새누리당에 필패할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었다.주도권을 잡은 것은 김종인 더민주당 대표였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도 천정배 공동대표와 김한길 전 의원을 중심으로 논의가 확대되는 듯 했지만,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는 "당 차원의 연대는 없다"고 못 박았다.

정치 | 오지혜 기자 | 2016-06-05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