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
스크롤 이동 상태바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
  • 설동훈 기자
  • 승인 2020.01.16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약처·농진청, 안전성 입증 완료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설동훈 기자]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이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됐다.ⓒ식품의약품안전처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이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됐다.ⓒ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와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16일 식용곤충의 하나로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탈지 분말)’이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받아 앞으로 우리 먹거리로 사용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갈색거저리 유충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2015년 장수풍뎅이 유충과 쌍별귀뚜라미를 식품원료로 인정한데 이어 이번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까지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됨으로써 현재 식용할 수 있는 곤충은 백강잠, 식용누에(유충, 번데기), 메뚜기, 갈색거저리(유충), 흰점박이꽃무지(유충), 장수풍뎅이(유충), 쌍별귀뚜라미(성충) 등 모두 8종이다.

이번에 인정받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탈지 분말)은 농촌진흥청이 식품원료의 특성, 영양성, 독성 평가를 비롯해 최적의 제조조건 확립 등을 위한 연구를 진행, 그 결과를 토대로 식약처가 안전성 심사 등을 거쳐 인정됐다.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은 식용곤충인 ‘갈색거저리 유충’과 동일한 딱정벌레목 거저리과로 갈색거저리 유충보다 크기가 약 1.5배 커서 ‘슈퍼 밀웜(super mealworm)’으로도 불리는 곤충이다.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 식품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과자·선식 등 다양한 식품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식약처는 “과학적인 안전성 평가로 식품원료의 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다양한 제품 개발과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품원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이 식품원료로 추가돼 곤충사육농가의 소득 증대와 곤충식품산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국내 곤충자원 활용과 식품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