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최고 수준 주주환원율 유지 약속
매년 1000만주이상 자사주 매입·소각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고수현 기자]

KB금융그룹이 24일 3분기 경영실적 발표회에서 ‘지속가능한 밸류업(Value-up) 방안’을 발표했다.
KB금융에 따르면 경영실적 발표에 앞서 지주 이사회는 ‘본원적 수익창출력 강화 방안’과 함께 보통주자본 비율(이하 ‘CET1비율’)과 연계한 주주환원 계획이 담긴 ‘KB의 지속가능한 Value-up 방안’(이하 밸류업 공시)을 결의하고, 그룹 CEO인 양종희 회장이 이를 직접 발표했다.
밸류업 공시에 따르면 KB금융은 오는 2025년부터 CET1비율 13%를 초과하는 잉여자본을 주주에게 환원할 계획이며, 총주주환원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겠다.
CET1(Common Equity Tier 1, 보통주자본비율)은 은행 핵심자기자본을 총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비율을 뜻한다. 보통 은행의 자본적정성과 손실 흡수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구체적으로는 2024년 연말 CET1비율 13%가 넘는 잉여자본은 2025년 1차 주주환원의 재원으로, 2025년 연중 13.5%를 초과하는 잉여자본은 하반기 자사주·매입 소각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CET1비율과 연계한 주주환원은 JP모건과 같은 글로벌 선도 금융사의 주주환원 방식으로 CET1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총주주환원율도 증가한다.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익성’, ‘건전성’, ‘주주환원’ 제고 관점에서 ROE 10% 이상, CET1비율 13% 이상을 바탕으로 CET1비율과 연계한 업계 최고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또한 ‘주당가치 성장’으로 주주환원의 프레임 전환을 선언하면서 연평균 EPS(주당순이익) 성장률 10% 수준, 자사주 매입·소각 연평균 1000만주 이상 수준의 목표를 제시하는 한편 자본비율 관리를 위해 RoRWA(위험가중자산이익률) 중심의 수익성 강화 계획과 더불어 RWA(위험가중자산) 성장률을 과거 10년 평균 수준(6.1%) 이하로 관리해 CET1 비율을 연간 13% 중반 수준으로 유지하겠다는 구체적인 방향성도 드러냈다.
KB금융 관계자는 “단순히 총주주환원율 목표를 제시하는 경쟁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방안이 주주환원과 연결돼야 진정한 주주가치 제고를 실현할 수 있다는 철학을 갖고 이번 밸류업 공시를 준비했다”며 “금번 발표한 KB의 지속가능하고 예측가능한 주주환원 프레임이 대한민국 금융회사 주주환원의 표준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좌우명 : 기자가 똑똑해지면 사회는 더욱 풍요로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