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회계조작 통해 정리해고
스크롤 이동 상태바
쌍용차, 회계조작 통해 정리해고
  • 최신형 기자
  • 승인 2010.09.01 1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승수 “쌍용차, 5132억원 부풀려 법정관리 받았다”
쌍용자동차가 지난달 23일 인도의 마힌드라&마힌드라 그룹과 인수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가운데, 쌍용차가 고의로 회계조작한 뒤 부실을 부풀리는 수법으로 정리해고를 단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다.

진보신당 조승수 원내대표와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투기자본감시센터 등은 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쌍용차 법정관리와 정리해고 근거로 쓰인 회계자료들을 공인회계사에게 의뢰했더니 건물과 구축물 등 부동산을 손상차손계상한 것이 드러났다"며 "그 규모가 5천억원이 넘어 쌍용차의 잠재적 부실규모를 크게 부풀리는 결과가 초래됐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말하는 손상차손이란 자산의 시장가치 급락이 예상될 때 장부상의 손실을 미리 기록해 놓는 것을 말한다.

2008년 12월 안진회계법인이 쌍용차가 의뢰해 만든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07년 당시 각각 23억원, 8000만원에 불과했던 손상차손 누계액은 2008년 한 해 동안 약100배, 400배 가까이 증가됐고 구체적으로 회계장부 상의 건물과 구축물의 부동산가격이 한 해 동안 각각 50%와 65% 하락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부동산 가격 하락과 관련, “공장의 사용가치가 특별히 달라지지 않았고 옹벽, 하수도, 굴뚝과 같은 구축물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되지도 않았다”면서 “근데도 건물과 구축물이 가격이 1년 만에 반토막 났다는데 전문가들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에 따르면 조작 계상된 유형자산손상차손은 5132억원에 달하고 141800대의 판매대수를 의도적으로 81800대로 축소한 흔적도 발견됐다.

이렇게 부풀려진 손실을 통해 쌍용차는 법원으로부터 법정관리 신청을 받을 수 있었다는 게 조 의원의 주장이다.

조 의원은 “회계조작을 공모한 집단인 쌍용차 경영진 중 박영태씨는 당시 재무담당이사였고 지금도 여전히 법정관리인”이라며 “이들은 차음부터 노동조합과의 타협의지는 전혀 없었고 회계조작을 통한 정리해고안을 강행할 프로그램만 있었다. 이것은 명백히 파업유도”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러면서 “쌍용차 사태로 지금가지 9명이 죽었고 3000여명이 해고를 당해 거리로 나앉았다”면서 “시민사회의 힘 만으로 회계조작에 의한 정리해고의 진실을 규명하기는 어렵다”면서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가 나서서 국정감사 등을 통해 쌍용차 정리해고의 진실과 책임자 처벌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쌍용자동차 홍보팀 관계자는 자산가치 의혹과 관련, "기업회생 절차 개시 신청으로 매출이 급감한 것"이라며 "기업회계기준서에 근거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한 것이기 때문에 회계조작은 전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 상승과 관련, "불과 5개월 만에 부동산 가격이 5252억원에서 1조197억원으로 실사조정됐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20년전의 땅값이 현실가치로 이해된 것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쌍용차는 유형자산 감소 이전인 지난 2008년 9월말 기준으로 회계 결산을 했다"면서 "조 의원 등이 주장하는 고의에 의한 자산 저평가 의혹은 논리적으로 오류"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