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시사ON·시사온= 한설희 기자]

SK하이닉스는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기업용 SSD 제품 ‘PE8110 E1.S’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신제품은 지난 3월 말 내부 인증을 완료한 상태로, 오는 5월 중 주요 고객에 제공될 예정이다.
앞서 SK하이닉스는 지난 2019년 6월 세계 최초로 128단 4D 낸드 개발에 성공, 이를 기반으로 기업용 SSD 제품 △SATA SE5110 △PCIe Gen3 PE8111 E1.L △PE8110 M.2를 개발하고 양산해 왔다.
이번 신제품 양산을 통해 회사는 해당 제품군 라인업을 구축했다. 라인업이란 128단 4D 낸드 기반의 기업용 SSD 제품 중 SATA와 PCIe(E1.L·M.2·E1.S)의 폼팩터를 갖춘 것을 말한다.
신제품은 전작 96단 낸드 기반 제품인 PE6110 대비 읽기 속도는 최대 88%, 쓰기 속도는 최대 83% 증가했다. 4GB 용량의 풀 HD급 영화 한 편을 1초 만에 저장하는 수준으로, 최대 용량 제품인 PE8110 8TB의 경우 영화 2000편을 하나의 SSD에 담을 수 있다.
SK하이닉스는 제품 성능을 개선하면서도 전력 사용량은 전작과 동일한 수준으로 맞춰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다. 특히 신제품은 시스템을 그대로 두고 교체해도 서버가 즉시 인식 가능하고, 디자인을 개선해 발열을 줄일 수 있는 구조다. A/S 보장기간도 3년에서 5년으로 늘어 데이터센터 운영비용도 절감됐다.
이재성 SK하이닉스 부사장은 “이번 양산을 통해 완전한 제품 라인업을 갖춰 고객들이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SSD로 대체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혔다”며 ”저전력이 강점인 SSD는 HDD 대비 94% 이상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어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회사의 ESG 경영을 강화하는 데도 일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좌우명 :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지식에 의해 인도되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