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정세운 기자)
10월 3일 새누리당은 10·30 재보궐선거 경기 화성갑 후보에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를 최종 공천했다. 이를 놓고 야당인 민주당뿐 아니라 새누리당 내 의원들의 반발이 거셌다.
서청원 공천을 반대한 사람은 조해진 박민식 김성태 이장우 등으로 당내 개혁파로 불리는 의원들이었다.
이들이 주장하는 ‘서청원 공천 불가론’의 핵심은 두 번의 비리전력 때문이었다.
박민식 의원은 한 방송에 출연, “서청원 공천을 볼 때 개인적으로 굉장히 답답하게 생각한다. 국민들에게 얼마나 설득력 있을지 우려스럽다”고 반발했다.
조해진 의원도 “그동안 당이 국민에게 약속하고 지켜온 개혁공천의 원칙을 완전히 뿌리째 뒤엎는 것이자 역사적으로 퇴행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의 주장이 옳은 것일까?
우선 서 전 대표의 첫 번째 비리전력은 이미 18대 총선을 통해 심판을 받았다. 서 전 대표는 2008년 친박연대를 만들어 자신의 당선을 포함해 무려 14명의 당선자를 냈다. 첫 번째 비리전력은 깨끗이 심판을 받은 셈이다.
결국 따져보면, 서청원 공천 불가론의 핵심은 두 번째 비리전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8대 총선에서 친박연대 돌풍을 몰고 왔지만, 서 전 대표는 비례대표직을 사고 판 혐의가 적용돼 의원직 상실과 더불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았다.
서청원에게 있어 이번 선거는 ‘명예회복 전쟁’
이에 대해 서 전 대표는 한결 같이 “MB정권이 만들어낸 보복정치”라며 자신은 정치적 희생자였다고 주장했다. 서 전 대표는 “친박연대 때 받은 돈은 개인적으로 착복한 게 아니다. 당에 다 낸 특별당비 같은 것이다. 만약 이게 문제가 된다면 한나라당에 특별당비를 낸 사람들도 잡아들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출소 후 그는 이에 대한 항변으로 ‘청산회’를 만들었다. 그를 따르는 청산회 회원이 무려 7만 명으로 불어 났다.
필자는 18대 대선을 앞두고 서 전 대표와 만났다. 그때 그는 “반드시 명예회복을 하고 정치를 마무리하고 싶다”고 말했다.
‘명예회복을 하는 방법이 무엇이냐’고 묻자, 서 전 대표는 “나의 명예회복은 박근혜 대통령이다. 그리고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 과연 내가 정치보복의 희생양이었는지, 아니었는지를 묻고 싶다. 그 방법은 출마뿐이 없고 유권자들이 선택할 것이다”고 밝혔다.
결국 서 전 대표의 이번 출마는 자신의 정치인생 35년을 건 ‘명예회복 전쟁’인 것이다.
서 전 대표는 ‘MB정권의 정치적 희생자였다’는 주장을 옥중에서, 출소해서는 청산회를 통해 널리 알렸다. 그리고 이제는 유권자의 심판을 받겠다고 나섰다. 충분히 일리 있는 주장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개혁파’, ‘소장파’라는 의원들의 ‘서청원 공천 불가론’은 어디에서 나왔는지 묻고싶은 심정이다.
그들이 진정한 개혁파라면 당내로 들어온 ‘특별당비’가‘공천헌금’은 아니었는지부터 묻고 따져야 할 것이다.
자기 허물을 들여다보지 못하고 무조건 반대부터 한다면, 인기영합주의자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청원 공천 반대를 외쳤던 의원들에 대해 ‘친이와 친박’을 오가며 선수 하나 늘리는 데만 공을 들였던 정치인이라고 누군가 비난한다면, 이들은 무엇이라 답할까?
당 원로정치인의 명예회복을 막을 권한이 이들에게는 없다.
좌우명 : YS정신을 계승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