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 늘어나는 기술금융대출…독or약?
스크롤 이동 상태바
무작정 늘어나는 기술금융대출…독or약?
  • 김유현 기자
  • 승인 2014.11.10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김유현 기자)

최근 은행들의 중소기업 대상 기술금융 대출 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부보증이나 정책자금 지원 없이 스스로 모든 리스크를 짊어져야 하는 자율적 기술신용 대출 증가가 눈에 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이 기술신용평가기관(TCB) 연계 대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난 7월부터 10월 말까지 단 4개월간 기술금융 명목으로 대출해 준 금액은 3조5900억 원이다.

'기술금융 종합상황판'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 기술신용대출 건수 및 잔액은 △2014년 7월 486건, 1922억 원 △8월 1510건, 7221억 원 △9월 3187건, 1조8000억여 원 △10월 6235건, 3조5900억 원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금융당국은 10월부터 은행별 기술금융 실적을 점검하고자 '기술금융 종합상황판'을 가동하고 있다. 정부는 실적에 따라 정책자금을 차등 지원하는 것은 물론 경영혁신평가에서도 불이익을 준다는 방침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부의 이 같은 압박이 은행권 자율대출 실적 급등으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9월 말 기준 은행 자율대출 실적은 6995억 원으로 전체 실적의 38.1%에 불과했지만, 10월 말에는 1조9546억 원을 기록해 절반(54.4%)을 웃돌았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 자율대출 금액이 4873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4486억 원)·기업(3475억 원)·우리(3007억 원)·농협(1208억 원)은행 순이다.

반면, 기술보증기금을 통한 보증부 대출과 정책금융공사를 통한 온렌딩 대출 등 정책형 기술금융 비중은 같은 기간 61.8%에서 45.5%로 감소했다.

이처럼 은행권이 비전문분야인 기술금융에서 자체 비중을 급격히 늘려나가자 일부는 자산 건전성 저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기술금융은 말 그대로 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바탕으로 대출을 제공한다. 때문에 해당 기술력을 검증할 수 있는 은행만의 노하우가 절실하다.

근데 정부는 무조건 기술금융 대출 규모를 늘리란다. 기초가 탄탄히 세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기술금융에 적극 드라이브를 걸다 보니 양질의 관리가 어려운건 당연지사다.

지난 9월말 국내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연체율은 1.14%로 전년 말에 비해 0.26% 포인트 올랐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기술금융은 은행 전문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역량을 갖추고 시스템과 능력을 정비해야 한다"며 "근데 현재 절대적인 대출만으로 실적을 따지고 있어서 상당히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는 기술금융이 은행권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사업이지만 은행 입장에서도 순이자마진(NIM; Net Interest Margin)을 높이기 위해 고수익 금융 상품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연체율도 아직은 부담스러운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