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박시형 기자)
국내외 금융기관들의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 전망치가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올 초 3%대로 전망됐던 성장률이 최근에는 2% 후반대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줄을 이었다.
23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해외 투자은행(IB)등이 내다본 GDP 증가율은 평균 2.6%로 올 초 3.4%보다 0.8%포인트 낮아졌다. 한국 경제에 대한 위기의식을 드러낸 것이다.
독일 데카뱅크의 경우 2.1%로 가장 낮은 수치를 제시했다. 노무라, IHS이코노믹스, ANZ은행, 웰스 파고 등도 줄줄이 2.2%로 전망치를 하향했다.
코메즈방크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2.3%로 예상했다. 지난 2009년 금융위기의 0.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의 성장률 전망치다.
해외 IB의 우려는 최근 국내 경제상황이 처한 수출과 내수의 동반 부진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나온다.
국내 경제는 신흥국 수요 부진에 따른 수출 위축이 지속되고 있다.
올해 8월 수출은 393억25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달보다 14.7% 줄며 8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 2009년 8월(-20.9%) 이래 가장 낙폭이 크다.
유가 하락에 환율을 낮춰 경제 하방 압력에 대응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의 움직임에 산업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밀리고 있다.
내수 역시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초근 경제동향 9월호'에 따르면 7월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각각 1.7%, 1.9% 증가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민간 소비가 다소 회복되고 있지만 정부가 11조 원대의 추가 경정예산을 편성한 것을 감안하면 회복세는 미약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경기 하방 압력은 외부에서도 계속되고 있어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으로 금융 불안이 확산되고, 여파가 우리나라로까지 미치면 경제 위기 상황이 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 경착륙 문제가 변수다. 중국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7%대로 예상했으나 현재 3~4%대까지 추락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한국 최대 교역국인 중국이 궤도를 이탈하면 우리나라 기업들도 위기 상황에 내몰리게 된다.
정부에서 내다보는 성장 전망도 비관적인 방향으로 돌아섰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달 초 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방문한 터키 앙카라를 방문, "중국의 경기 중화로 한국의 2016년 성장률을 당초 3.5%에서 3.3%로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정부·민간 연구소들도 우리나라의 10년 후 잠재설장률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8월 우리나라 GDP 잠재성장률을 2026~2030년 1.8%로 전망했다.
LG경제연구원은 2020~2030년 한국 GDP잠재성장률을 평균 1.7%로 전망했으며 현대경제연구원도 2010~2014년 3.5%에서 1%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좌우명 : 필요하면 바로 움직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