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현지 동향 모니터링…자동차·건설 산업에 연쇄 영향 우려
산업부, 긴급 점검회의 개최…“민관 공조 통한 적극 대응” 의지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박제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오는 11일에는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한 추가 발표도 예고됐다. 철강업 전반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 철강업계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일 수퍼볼이 열리는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국 제조업 보호와 세수 확보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특히 취임 후 강력한 보호무역 기조를 통해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고 연방 정부의 세수를 확대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당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당시 한국은 쿼터제(수출 물량 제한)를 수용하며 관세를 면제받았지만, 이번에는 상황이 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5일 논의됐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유예조치가 백지화된 데 따른 것이다. 관세 조치가 강경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이 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할 경우 한국 기업들의 대미 수출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관세 정책 발표 직후 증권시장에서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최대 3.6% 하락, 현대제철도 2.9% 떨어지는 등 철강업계 주가가 즉각 반응하기도 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철강 수입시장 점유율 5위(6.3%)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에서도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3%로, 주요 수출국 중 하나다. 자동차 강판, 조선·건설용 강재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핵심 수출 품목이다.
때문에 수출 물량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내 완성차 가격 상승 등 연쇄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철강업계는 관세를 피하고자 미국 내 생산시설 구축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현대제철은 미국 내 제철소 건설을 고려 중이며 포스코도 상공정 진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업계 관계자들은 “실현 가능성이 있는 정도”라며 재차 신중한 입장을 전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 거점을 확보하는 방안은 초기 투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서두르기 어렵단 것이 업계 중론이다.
국내 기업들이 고부가가치와 고품질 제품을 주로 수출하는 만큼, 당장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일부 주장도 존재한다. 미국 내에서는 생산이 어려운 제품들이기 때문이다.
분명해진 위기감 만큼이나 정부와 철강기업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당장은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0일 서울 철강협회에서 박종원 통상차관보 주재로 긴급 회의를 연 것.
이 자리에서 박 차관보는 “정부는 주미 공관을 비롯 동원 가능한 모든 네트워크를 총력 가동해 구체적 내용을 파악 중에 있으며 향후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좌우명 : 오늘 최선을 다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