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사, ´금융사고 방지´ 내부통제 강화
스크롤 이동 상태바
은행사, ´금융사고 방지´ 내부통제 강화
  • 박시형 기자
  • 승인 2014.04.16 1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박시형 기자)

은행들이 신뢰회복을 위해 먼저 내부통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전날 있었던 금융감독원 소집에 내부통제와 사고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한다. 특히 직원 사이의 돈거래를 실시간 감시하고 인사에 반영하는 성과평가 체계도 개편한다.

도쿄지점 부당대출에 이어 전 지점장 자살 사건이 발생한 우리은행은 직원 계좌에서 1천만 원 이상이 이동하면 상시 감시체계가 가동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경조사나 회식비 등이 아니라면 금액이 많지 않아도 직원 간 돈거래가 자주 이뤄질 경우 의심의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비정상적인 돈거래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는 취지다.

또 우리은행은 일선 점포에서 고객이 여러 계좌로 분산 예치하는 등의 거래에도 본점 감찰부서가 즉시 담당 직원에게 소명을 요구한다.

국민은행은 도쿄지점 부실규모가 가장 큰 만큼 '해외점포 관리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은행 본부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앞서 지난해 말 해외점포에 대해 대출을 승인하는 전결권을 축소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도쿄는 부동산대출 위주, 런던은 기업 대출 위주 등 지역마다 다른 사업모델과 특성을 반영해 TF가 내부통제 장치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과 함께 도쿄지점 부당대출이 적발된 기업은행도 지점장 전결권을 일반 해외점포의 경우 20~30%, 도쿄지점은 70% 가까이 줄이기로 했다.

각 은행은 성과평가체계(KPI)도 개선해 직원들의 부정을 방지한다.

기업은행은 신규고객 유치 실적 목표를 약 40% 줄이는 등 성장 목표를 대폭 삭감해 실적 압박으로 인한 부실우려를 줄였다.

신한은행은 현재 5% 비중으로 반영된 KPI 내부통제 점검 비중을 올해 하반기부터 늘리는 방안을 검토한다.

한편, 일부 은행은 금감원의 질책에도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김주하 행장으로부터 아무런 얘기도 듣지 못했다"며 "내부 통제 방안은 나중에 밝히겠다"고 말했고 하나은행 측도 "김종준 행장이 구체적인 지침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담당업무 : 시중은행 및 금융지주, 카드사를 담당합니다.
좌우명 : 필요하면 바로 움직여라.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