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밸런타인, 대목은 없다'…생활물가 '껑충' 소비심리 '꽁꽁'
스크롤 이동 상태바
'설·밸런타인, 대목은 없다'…생활물가 '껑충' 소비심리 '꽁꽁'
  • 박근홍 기자
  • 승인 2019.02.07 13: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사오늘, 시사ON, 시사온= 박근홍 기자)

유통업계가 설 명절 대목에 이어 밸런타인데이 특수를 노리기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지갑을 굳게 닫은 모양새다. 생활물가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소매판매액은 464조51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대형마트의 판매량은 2.8%, 슈퍼마켓·잡화점 판매량은 0.7% 줄었다. 전반적인 소비는 늘었지만, 국민생활과 밀접한 소비는 감소한 것이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지난 설 명절 경기가 예전 같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대형 유통업체 관계자는 "설 선물세트를 해체한 재고가 쌓여있는 상황"이라며 "포스트 설 마케팅 등을 펼치면서 물량을 털어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울 광장시장의 한 상인은 "대목을 노리고 과일이랑 채소를 잔뜩 떼놨는데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서 그런지 아직도 다 팔리지 않았다"며 "마진을 좀 낮추고 많이 팔려고 했는데, 예년만 못하다"고 토로했다.

자유한국당 김현아 의원도 이날 CBS<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시장에는 명절 특수가 없어졌고, 서민들은 지갑 열기조차 겁내는 설이었다"며 "특히 자영업에 종사하는 국민들이 정말 먹고 살기 힘들다는 한숨과 걱정이 깊고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당분간 소비심리가 더 꽁꽁 얼어붙을 공산이 크다는 데에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5를 기록, 2018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장기평균 기준값인 100을 하회하고 있다.

한국은행 측은 "올해 민간소비는 소득 증가세 둔화 등으로 증가율이 전년보다 낮아질 전망"이라며 "소비심리도 경기둔화와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단기간 내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설 명절, 밸런타인데이 특수를 기대하고 마케팅 비용을 늘렸는데 기대 이하의 매출이 예상된다"며 "소비심리가 개선되지 않는 이상 올해 내수 실적은 신통치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설 명절을 앞둔 한 대형마트 ⓒ 뉴시스

이처럼 국민들이 지갑을 굳게 닫고 있는 이유는 생활물가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지난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24로 전년 월월 대비 0.8% 상승했다. 1% 미만 상승률을 기록한 건 12개월 만에 일로, 안정적인 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2.5% 올랐으며, 외식물가는 3.1% 뛰었다. 개인서비스요금도 2.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직접적으로 먹고 사는 데에 들어가는 물가는 급증한 셈이다.

앞으로도 생활물가 상승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론이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지출 확대 등을 핑계로 가격 인상을 예고하는 업체들이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CJ제일제당은 오는 21일부터 햇반, 어묵, 장류 등 7개 주요 품목의 가격 인상을 단행한다. 맥도날드는 오는 12일부터 버거 6종, 아침 메뉴 5종, 사이드 및 디저트 5종, 음료 2종, 해피밀 5종 등 23개 메뉴의 가격을 평균 1.34% 올린다.

도미노 가격 인상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2017년 11월 롯데리아가 가격 인상을 시작하자, KFC, 맥도날드, 버거킹, 서브웨이, 김밥천국, 이삭토스트 등이 연이어 값을 올린 바 있다.

이어 CJ제일제당, 코카콜라, 동아오츠카, 한국야쿠르트, 오뚜기, 동원F&B, 빙그레, 남양유업, 세븐일레븐, GS리테일, SPC삼립,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농심, 롯데제과, 롯데제과 등 30여 개 업체들이 지난해 가격 인상을 단행하는 등 유통가 전반으로 확산됐다.

이와 관련, 시민사회에서는 각 업체들이 가격 인상 요인을 구체적으로 밝힐 것을 의무화하는 법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인건비, 임대료 등 인상 근거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잘 팔려도 올리고, 잘 안 팔려도 올린다"며 "일부 핵심적인 영업비밀을 제외한 나머지 가격 인상 요인을 공개하도록 하는 정부 정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야쿠르트는 2017년 7년 만에 매출 1조 원을 회복하는 쾌거를 거두고도 지난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최근 주요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한 CJ제일제당도 마찬가지다. 박애란 KB증권 연구원은 "CJ제일제당의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9.1%, 19.0%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담당업무 : 건설·부동산을 중심으로 산업계 전반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隨緣無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