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극장…“서비스 질 낮고 티켓값 비싸”
스크롤 이동 상태바
텅 빈 극장…“서비스 질 낮고 티켓값 비싸”
  • 편슬기 기자
  • 승인 2023.06.23 16: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높은 티켓 값에 ‘가성비’ 고려…OTT에서 본다
극장 인력 감축에 낮아진 서비스 품질도 ‘불만’
업계, “여러 업체 얽혀 있어 가격 인하 어려워”
높은 서비스 품질과 콘텐츠 퀄리티 개선 노력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편슬기 기자]

코로나19로 감소한 극장 관객 수의 회복세가 더디다. 원인으로 ‘비싼 표 값’이 지적되며,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시사오늘 김유종
코로나19로 감소한 극장 관객 수의 회복세가 더디다. 원인으로 ‘비싼 표 값’이 지적되며,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시사오늘 김유종

엔데믹에 접어들며 여행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업종이 활력을 되찾고 있지만, 영화관은 여전히 경영난에 허덕이는 모습이다.

관객들 사이에선 표 값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불만이 많다. 극장에서 영화 한 편을 볼 가격이면 OTT에서 한 달 동안 더 많은 작품을 볼 수 있는 만큼,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23일 영화진흥위원회가 운영하는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1~5월 기준 영화관 관객 수는 총 1163만1935명을 기록했다. 이는 4693만3590명을 기록한 2019년 동기 대비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극장 산업이 간신히 회복기에 접어들었던 지난해와 비교해도 2023년의 성적은 뒷걸음질쳤다. 영화 개봉편수와 상영편수, 매출 모두 전년 대비 감소한 것.

2022년 1~5월 국내 영화 개봉편수는 324편, 상영편수는 534편, 매출액은 1303억 원을 기록했다. 올해 같은 기간엔 개봉편수 248편, 상영편수 448편, 매출액은 1183억 원에 각각 그쳤다. 

이는 올해 극장가로 관객들을 끌어모을 것으로 예상했던 대작들이 대부분 초라한 성적표만을 남겼기 때문이다. 지난 1월 18일 개봉한 황정민·현빈 주연의 <교섭>은 172만 명을, 같은 날 개봉한 설경구, 이하늬, 박소담 주연의 <유령>은 66만 명을 각각 동원했다. 3월 1일에 개봉한 조진웅, 이성민 주연의 <대외비>도 관객 수 75만 명을 모으는 데 그쳤다. 

침체된 극장가에 마블의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가 2월 15일 개봉하며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이라 예상했으나 관객 수는 고작 155만 명었다. 지난달 3일 개봉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만이 현재까지 419만 명의 누적 관객 수를 보이며 준수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관객들이 좀처럼 극장에 돌아오지 않는 이유로는 비싼 표 값과 OTT가 꼽히고 있다. 

넷플릭스는 광고와 함께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광고요금제’를 월 5500원의 가격에 제공 중이다. 티빙과 웨이브, 왓챠는 가장 저렴한 가격의 ‘베이직 요금제’를 월 7900원에 이용 가능하다. 

반면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의 평일 표값은 1만4000원, 주말 표값은 1만5000원이다. 영화 한 편에 넷플릭스를 세 달, 국내 OTT 티빙·웨이브·왓챠를 두 달 이용할 수 있는 가격이다. 게다가 각 OTT 서비스 별 수백 편의 영화와 드라마, 예능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영화 한 편을 보느니 OTT를 이용하는 게 낫다는 여론이 형성되는 흐름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여파로 인원 감축을 실시하느라 낮아진 서비스도 고객들의 불만을 더하는 눈치다.

직장인 김모씨는 “키오스크 도입으로 노동은 관객에게 떠넘기고 직원은 줄어서 극장 환경은 점점 열악해지고 있는데 표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힘들다며 동정심 유발 마케팅만 지속하고 있는 극장을 보면 가고 싶은 마음이 싹 사라진다”고 꼬집었다.

또한 “극장용 영화와 OTT용 영화를 구분하게 됐다. 큰 화면과 사운드로 감상해야할 가치가 있는 영화는 극장에서 보고 그 외는 기다렸다가 OTT로 보는 편”이라며 “티켓 값이 부담이 되다보니 웬만한 영화로는 극장에 가지 않는다”는 반응도 쉽게 목격된다.

이는 영화 티켓 값 상승에 따른 소비 풍속도 변화라는 분석이다. 가격 대비 성능이나 만족도를 따지는 움직임이 OTT의 도입 및 활성화와 표 값 상승으로 영화계에까지 확산됐다는 것이다.

극장도 할 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영화관이 단독으로 움직일 수 없는 산업 구조임을 강조한다. 영화 제작사, 배급사 등 여러 시장이 얽혀있다 보니 쉽게 영화 티켓 가격을 내리고, 올리기에 어려움이 있다는 논리다.

업계 관계자는 “영화와 OTT는 엄연히 다른 서비스다. 관객이 영화와 OTT에게 갖는 기대감이 다를 뿐만 아니라 관객이 보고, 느끼는 ‘경험’에는 분명 차이가 있다”며 “물론 고객들이 느끼는 가격 부담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통신사 할인 등의 다양한 혜택, 프로모션을 통해 부담은 줄이고 앞으로 더욱 경험적 측면과 콘텐츠 퀄리티를 높여 관객들의 만족도를 높여나가겠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담당업무 : IT, 통신, 전기전자 / 항공, 물류를 담당합니다
좌우명 : Do or do not There is no try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