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부실 사업장 정리 속도 ‘거북이걸음’…'NPL펀드' 자사 매각 규모 73%에 ‘꼼수’ 의혹
스크롤 이동 상태바
저축은행, 부실 사업장 정리 속도 ‘거북이걸음’…'NPL펀드' 자사 매각 규모 73%에 ‘꼼수’ 의혹
  • 우한나 기자
  • 승인 2024.11.07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축은행 부동산PF 매각 완료 사업장 8.5%
매도자-매수자 이해관계 복잡…셈법 온도차
“파킹 의혹 사실 아니다…펀드 관여 불가능”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우한나 기자]

저축은행 이미지.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 이미지. ⓒ저축은행중앙회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업황이 어려운 저축은행업계가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일부 저축은행은 기준금리 인하로 업황이 회복될 때까지 정리보다는 ‘버티기 전략’을 쓰거나 PF 부실채권을 단순히 이연하는 ‘꼼수 매각’을 노린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저축은행업계는 부실 사업장 정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단 입장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업권의 부동산PF 사업장 중 경공매 대상은 2조1000억 원 규모지만 매각이 완료된 사업장은 1800억 원으로 8.5%에 불과하다. 금융당국은 연신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속도를 내달라고 저축은행들을 압박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의 부실PF사업장 정리 과정에서 저축은행업계가 경•공매를 피하면서 PF 부실채권을 이연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바로 NPL펀드에 대한 따가운 시선이다. NPL(Non Performing Loan)은 금융권의 무수익여신, 미회수채권 또는 부실채권을 말한다. 

저축은행이 부실 부동산PF 대출채권 정상화를 위해 자체 조성 혹은 공동출자한 펀드(NPL펀드)에 자사 부실 사업장을 매각한 규모가 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저축은행은 공동으로 NPL펀드를 조성해 부실채권을 매각하기로 했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9월 저축은행중앙회와 10개 저축은행이 330억 규모로 1차 펀드를 조성해 236억 원을 매각했다. 또한 올해 5~6월 2차 펀드에서는 34개 저축은행이 5112억 원을 출자해 3848억 원을 매각했다.

다만 NPL펀드가 사들인 부실채권의 규모가 투자금과 상당 부분 일치하고 매도자의 목록과 출자자의 목록이 70~80% 유사하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꼼수 매각이라는 비판이 나온 것이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저축은행들은 최근 침체된 부동산시장을 감안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먼저 부동산PF 사업장 정리와 관련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거래가 성사되려면 매도와 매수의 의지가 있어야 하는데 매수자 셈법으로 봤을 때는 가격이 낮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수한 다음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도 중요하다”며 “그러나 현재 서민경제나 부동산시장이 나아진 게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매수 요인이 낮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수자가 없다면 가격을 완전 헐값에 팔아야 하는데 마냥 가격을 떨어뜨릴 수만은 없어 상호 간 온도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NPL펀드관련 꼼수매각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는 설명이다. 부실채권이 헐값에 경공매로 넘어가 손실이 나는 것을 막고 대외적으로는 부실채권을 털어 건전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 외부펀드에 투자액 그대로 자사의 채권을 매입해 묶어뒀다는 것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파킹 의혹이 사실이라면 회계상 위반으로 불법에 해당하는데 아무런 고발 조치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펀드는 금융당국과 수많은 소통 끝에 조성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펀드는 매도자와 매수자가 관여하지 못하게 블라인드로 진행됐다”며 “과정은 운용사만 알 뿐 수십 개의 사업장 자금이 어떻게 흐르는지 아무도 관여할 수 없도록 단절돼 있다”고 설명했다.

담당업무 : 경제부 기자입니다 (보험·카드·저축은행 담당)
좌우명 : 아는 것이 힘이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