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연체율↑…하나 0.51 우리 0.42 KB 0.41 신한 0.39順
하나銀, 분기 기준 기업대출 역성장…우리銀, 대출축소 지시
우량자산 중심 리밸런싱…올 하반기 경영전략은 리스크 관리
[시사오늘·시사ON·시사온=고수현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4대 시중은행의 원화대출 자산규모가 1326조 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성장세가 소폭 둔화된 가운데 기업대출이 큰 폭 늘어난 영향이다. 가계대출보다 리스크가 큰 기업대출이 증가함에 따라 일부 은행의 경우 올 하반기 수익성 대신 리스크 관리에 보다 무게를 두는 경영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
7일 4대 금융지주 실적자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자산합계는 728조 원으로 전년말 대비 61조 원, 8.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로 보면 우리은행이 191조 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179조 원), KB국민은행(176조 원), 하나은행(172조 원) 순이다. 모두 전년말 대비 기업대출 자산을 공격적으로 늘린 모습이지만 최근 일부 은행을 중심으로 변화가 감지된다.
실제로 하나은행의 경우 기업대출이 분기 기준으로 처음 역성장을 기록했다. 다른 시중은행들이 1~4%대 성장을 보인 것과 달리 하나은행의 올 3분기 기업대출 성장률은 마이너스(-)2.0%를 기록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이미 연간 대출 목표를 조기 달성함에 따라 올 하반기에는 우량자산 및 수익성 중심 자산으로 리밸런싱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량자산 재조정 과정에서 기업대출 성장세가 꺾인 것이다. 이는 기업대출이 가계대출보다 연체율 등에서 건전성 리스크 부담이 더 크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의 올 3분기 대출 연체율은 0.32%로 가계대출이 0.25%, 기업대출이 0.37%를 각각 기록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가계대출 연체율이 0.01%p 소폭 오른 반면 기업대출은 0.08%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0.51%로 전분기 대비 0.11%p 늘어나며 대출 연체율 급증을 견인했다.
이는 다른 은행들도 비슷한 상황이다. 국민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0.30%로 전분기 대비 0.02%p 올랐다. 대기업 연체율은 0.03%에 불과하지만 중소기업대출은 0.41%에 달한다.
신한은행 전체 연체율은 0.28%로 전년 동기와 유사하지만 중소기업 연체율은 0.34%에서 0.39%로 0.05%p 늘었다.
우리은행도 기업대출 연체율이 0.34%를 기록했다. 중소기업 연체율은 0.42%로 하나은행 다음으로 높다. 특히 우리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지난해 3분기말 115조 원에서 올 3분기말 127조 원으로 1년새 12조 원 늘었다.
기업대출 경쟁 속에서 일부 은행들이 리밸런싱에 나선 건 기업대출 리스크가 가계대출보다 크기 때문이다. 기업대출의 경우 위험가중자산(RWA) 가중치가 가계대출보다 높다. 의도적인 기업대출, 특히 중소기업 대출 축소는 보통주자본(CET1)비율 개선에 효과적이다.
3분기말 기준 국내 4대 금융지주의 CET1비율은 KB금융 13.85%, 신한금융 13.13%, 하나금융 13.17%, 우리금융 12.0%다.
우리금융의 CET1비율은 지방금융지주인 BNK금융(12.31%), JB금융지주(12.68%)보다도 낮다. CET1 비율 개선을 위해서는 위험가중자산 가중치가 높은 기업대출을 줄여야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9월부터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공격적인 기업대출 확대에 나선 앞서 우리은행 입장에서는 경영전략을 수정해야하는 상황이 닥친 셈이다. 당시 우리은행은 자산 포트폴리오 내 기업 및 가계 대출비중을 기존 50대 50에서 2026년까지 60대 40으로 리밸런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3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1.7%로 목표치까지 상당히 남아있지만 우리은행은 결국 최근 기업대출 확대 전략에 변화를 줬다.
올해 기업대출 대출 잔액 평가 기간을 10월 말로 종료하고 11~12월 두 달간 기업대출 잔액을 줄이면 KPI(핵심성과지표) 가점을 주기로 한 것이다.
여기에 더해 신규 기업대출도 제한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기업금융 명가 재건 프로젝트가 아예 폐기되는 게 아니냐는 말도 나오지만 우리은행 측은 기업대출 자산성장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기업대출 중에서도 소호부문 대출 연체율이 크게 오르는 등 리스크가 있다보니 은행별 상황에 따라 수익성보다 건전성 관리에 보다 무게를 두는 경영전략 방향에 힘이 실리고 있다”고 귀띔했다.
좌우명 : 기자가 똑똑해지면 사회는 더욱 풍요로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