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늘·시사ON·시사온=이윤혁 기자]
![야당의 후보들이 대선을 염두에 둔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방면 여권의 후보들은 쉽사리 입을 열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news/photo/202502/168016_212561_512.jpg)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파면 결정 여부에 따라 조기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 언급되는 가운데 이에 발맞춰 야권의 대권주자들은 자신만의 ‘정치적 메시지’를 내세우고 있다.
우선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 중 압도적 선도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대표는 ‘흑묘백묘론’을 꺼내며 우클릭 행보에 힘을 쏟고 있다. 이를 증명하듯 이 대표는 방위산업 지원 의지와 함께 반도체특별법에 한해서 ‘52시간 근로 제한 예외조항’을 적용하는 문제를 놓고 기업친화적인 의견을 표출한 적이 있다. 그간 기본소득, 전 국민 25만 원 민생회복지원금 등 진보적 색채가 강했던 이 대표의 정책 대신 실용주의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한 것으로 예측된다.
이어 개혁신당의 유일한 대권주자인 이준석 의원은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홍익대 버스킹거리 기자회견에서 “이제는 낡은 정치의 시대를 끝내야 한다”며 ‘40대 기수론’을 주창하는 등 기성 정치와의 차별화를 역설했다.
이렇듯 유력 주자들이 대선 정국을 앞두고 ‘정치적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 데는 유권자들의 표심을 끌어낼 승부의 ‘키포인트‘를 선점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는 ‘경제 민주화’, 문재인 전 대통령은 ‘적폐청산’, 윤석열 대통령에게도 ‘공정과 상식’이라는 표어가 있었다.
하지만 현재 국민의힘의 주자들은 자신을 상징할 만한 메시지를 쉽사리 꺼내지 못하고 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헌재 판결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여당의 주자가 대통령이 탄핵된 것을 가정해 행동할 수 없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이에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6일 <시사오늘>과의 통화에서 “탄핵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권의 주자들은 눈치를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여당 후보들이 당심과 민심 사이의 ‘딜레마’에 빠져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근거는 최근 국민의힘 당내 상황이다. 대권주자들이 두 분류로 나뉘어 있는데 탄핵을 감싸는 친윤계 후보들과 이를 비판하는 비윤계 후보들이다. 친윤계 후보들의 경우 당내 다수의 당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지만 중도확장성 측면에서는 부족하는 평가를 받는다. 반면 비윤계 후보들은 민심에서는 앞서지만 당원들의 지지는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종 사안마다 의견이 상이함에도 한쪽에서 배척받을 만한 목소리를 낼 경우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언급을 꺼리려 한다는 분석이다.
관련해 당내 관계자는 최근 본지와의 대화에서 “아직까지 무언가 이야기를 하기에는 조심스러울 것”이라며 “특히 비윤계 후보들이 딜레마에 빠져 있다. 당심과 가까운 메시지를 내자니 민심과 멀어지기에 당분간 줄타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www.sisaon.co.kr/box/box_news/photo_lyh.jpg)
좌우명 :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 속에 불가능한 꿈을 갖자!